Tag Archives: Namsoo Kim

2018.11 Science of fire, embodied language, and “ unforgettable things” (Namsoo Kim)

Lee Minha: Science of fire, embodied language, and “ unforgettable things”

Namsoo Kim, Choreography critic

 

#1. “Light plays upon and laughs over the surface of things, but only heat penetrates.” (Gaston Bachelard, Psychoanalysis of Fire)

#2. “If the nature of such life or moment required that it be unforgettable, that predict would imply not a falsehood but merely a claim unfulfilled by men, and probably also a reference to a realm in which it is fulfilled: God’s remembrance” (Walter Benjamin, The Task of the Translator)

By presenting a form of intentional anachronism Lee Minha’s work reminds me of the artwork of the ancients, who have been banished into the future (the present). The work is archaic in style, as if it were scooped out of the historical tides of time, and brings forth a sacred language, not decorative, into the present, as “grand marks carved in the sky” and “the scribbles of the language of god”. What does it mean to recollect the sacredness of the past in this hyper-connected, mega-machined society? Which aspects of this contemporaneity in the artwork harnesses a form of sacredness, which is sometimes not unlike the ideology and business of religion? Lee’s work is a vivid example of a “secret treaty between the primitive and now”—a form of contemporaneity espoused by Giorgio Agamben. The work ties different eras together and make a tight knot, reminding us of a Gordian Knot that leads to a unified spirituality, not an insoluble mystery. A sudden appearance of an enigma, so to speak.
Tanning of sheepskin and inscribing text with a heated iron on the smooth surface is considered as a vernacular practice, and it is now treated as an ancient tradition before the modern era, from which it takes place. Not unlike shepherds who lived in caves and nomads of the nomadic era, something once visible disappears into an invisible realm. In this respect Lee Minha is a very special visionary who shows what has disappeared. According to Collin Wilson, a “visionary” starts from a point where anyone can understand, and jumps to a higher realm where the ordinary cannot reach”. She opens the hidden dimension as a visionary in the dark, by writing the life of the other side through a science of fir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hidden dimension is most prevalent in deserted sites. This is why the wilderness holds a special space in Lee’s work.

What Lee Minha is performing in her work is not a simple scorching nor branding of text onto leather. Here is an artist who desires (if this can be named) to willingly sacrifice herself in exchange for visualizing Gnosis, or knowledge of spiritual mysteries. Lee takes risks when engraining the existential condition in her work because it requires not only skillful hands or technical gestures, but the artist as an empirical self who endlessly throws herself into a kiln. A recognition, that a life of a scapegoat and that of a human are not just marked as equal, but are considered equal, makes this self-immolation possible. It is impossible to bring the hidden dimension forward without a sacrifice.

An artwork that is technically seamless indicates nothing more than its being taken into the fold of the fabrication of the modern era. Meanwhile, Lee Minha struggles and gives herself up to the expression of text as marks from the hands of god to the realm of the mortals. The concept of exchange bridges a sublime infinity and the limited.

 

#3. “In order to satisfy the Arabs, the enclosed space must have (…) an open view..” (Edward Hall, The Hidden Dimension)

As a philosopher once said, “language is the house of being.” Lee Minha dwells in language. To be specific, it is the language of a larval-subject [sujet larvaires, Gilles Deleuze]. The ‘larval-letter’ crawls and roars — like Roaratorio by John Cage — and its calligraphy wiggles and squirms. The strokes of the letter, the tracks and the traces are signs of its vitality (also its angle and direction). The larval-letter shouts out into the direction of a fork — this way!— as if to engrave the eternal trace of the way. Some letters that once belonged to god cannot be pronounced.

Therefore, ‘the house’ is a place to return to. When one is born ‘the presence’ is blessed and anointed, but we all forget their faceless beings — pristine, unrefined yet chaotic, without characteristic eyes, noses, and mouths. The house is a place for seeds where all the beings gather to recover their original existence, prior to language or the texture of things. Lee Minha writes stories and a history of people in a simple and clear language, with the power of fire and iron, so that the scorching sound and smell sends them back to ‘the house’. This is what ‘the house’ is for.

The above is one possible thought for the reason why artist Lee Minha attempts to reveal gnosis, or spiritual knowledge, by scorching sheepskin with an iron like a tanner. However, the method, ironing as a fruit of the science of fire (though modern science cannot answer to what fire really is) is another aspect of the work that deserves attention. The artist imprints text on sheepskin with an iron heated by the fire of god—instruments from an ancient era. Yet, unlike palimpsest, her inscription is conducted once and for all. Written without corrections, the work is a book written with the language or science of fire. Consequently, all living beings have a place to return, ‘the house’ that will last, and the history of a visionary that reveals this hidden dimension continues. Hence, Lee’s work requires us to see it with a dimension of myth and adventure. It is inevitable, in regards to the spiritual aspect of the work.

Ironing, in the work of Lee Minha, is not of light but of heat that penetrates. This heat recalls a scorching sound on skin, the burning smell and pain from a collective unconscious passed down from the ancient age and the medieval age. On the surface of textured sheepskin, the chronicling of a collective memory is revealed. It forms a tableau the artist works on that carries archetypal memories accumulated under the skin. The surface bears traces of life, its hardship, and the ethical imperative of remembering. This is only possible within ‘god’s remembrance’ (Walter Benjamin). In this regard Lee’s work is accompanied by a religious aspect. Those who bear every corner of life—some would dare call it empathy—, from its unfolding, its severe depth, and its ups and downs, come closer to a Leibnizian concept of god. Therefore, it is god who is confessing—some confessions are divine.

 

#4. “Looking for one’s own nothingness in a fire that speaks of human greatness.” (Empedocles)

The topology of Lee Minha’s work contains the following: Even a divine being needs a specific context, foreshadowing, and allegory in order to present itself in front of today’s human spirit — in layers and plys, immediacy and presence, olfactory minds, and things highly Gnostic. Things that become gradually outdated and discarded within the waves of New Media art. In a time of New Media that replaces older forms of media the artist suddenly and conspicuously summons the primitive sign of the medium. She does so as if she argues that all lives are immortal, and thus should not be forgotten. It is as though she testifies that what lasts in memory is a sign that teaches us immortality. “It is a life that without monument, without memory, perhaps without witness, must remain unforgotten. It cannot be forgotten. (Walter Benjamin, An Aesthetic of Redemption (Los Angel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4), 44). An absolute positivity lies deep inside the marks made through the science of fire, and appears as a transcended negativity – like that of a phoenix.

 

“ I blinked my eyes in a sandstorm and I was at Incheon.”

“A heartless act is only selfish and self-satisfactory”

“In fact I long for people deep in my heart”

“My marriage demanded me to live in a different way”

“Discriminations surged my life like rustling paper”

 

Lee Minha’s work is tinged with a religious promise, like the story of a human who jumps into the flame and is revived like a phoenix with the signs and marks of eternity. There is a tacit implication that an unforgettable essence works as a measure of intensity. In the project Anamnesis (2017) the artist lies down like a tableau in which the ironing is symbolically performed, and in which diverse stories of those from different regions are incised like aphorisms in their own foreign languages. In that moment the body of the artist is the Tower of Babel, as ‘the house’ where heterogeneous language returns. Lee provides her own body as a room for dispersed languages to gather to become spiritual seed. The body is simultaneously the flesh of the scapegoat, a body in flames, and a pile of ash. In the next moment, it rises as another life form from its ashes. It is “a bird of fire” for Gaston Bachelard, and for Lee, it “recollection”. Why does she recollect? Perhaps it is because of Gnosis - the fact that one, like everyone else becomes a phoenix when one realizes it. Through the ritual of sacrifice and by the science of fire, language is embodied onto flesh, appearing as the phenomenon of ‘recollection’.

In some projects Lee Minha not only performs the imprinting of text but also intones the text, bringing it into the present. By her chanting, text becomes alive with flame—it is not canned and preserved. Then, the text resonates within the space of the shepherd’s expansive cave, or a medieval library with an expanded domed ceiling. By intoning while transcribing, the very basis of recollection, the artist creates an acoustic image, opening a dimension that is both visual and conceptual. The same happens in the movie, Diary of a Country Priest, by Robert Bresson—in the scene in which a young priest of declining health writes his diary in agony—, the sentence is written on the blank space of the scene as it is read with a voiceover. The subtitles of the movie visualize the sentence, written once again. Listening to what is verbalized with one’s own voice is the foundation of an unforgettable life, and a life that is revived from the echoing of space. This spatiality is revealed in the performance of the artist.

Every life is a voyage to an ocean of pain. It is not a surprise when one encounters heavy storms—becoming nearly shipwrecked. This agony gets caught up in a vicious circle of the neoliberal agenda. Despite all this, Lee Minha does not attempt to resists the social. Rather, she argues that we can replace our existing sets of mentality with a completely new Tabula Rasa, transcribing what has been forgotten in the deep oblivion. Furthermore, she argues that this needs to be recollected. Why? Because this cannot be forgotten in the first place. Though life may be a moment in time, it is not meaningless —the instant, anonymous, ephemeral moment, are themselves signals of eternity. The temporality of the moment are captured and materialized by the language of fire. It is embodied by becoming a part of oneself, rather than through others. Because in navigating an ocean of pain through Gnosis, one might fall into an aimless religious routine, Lee asks us to see the essence of life as physical sensation, self-sacrifice, recollection and revival. No, she sends shock waves.

I would like to pose this question once again. Why does Lee Minha pursue her own spiritual language, in her work, by scorching sheepskin like a tanner? Iron has the concentrated power of fire on its tip, not unlike St. Elmo’s fire. As if Magellan’s fleet encountered the phenomenon in which a lightning strike created a glowing ball on top of the mast when they turned the corner through the vast Patagonian valley—following their destiny without any promise or religious faith. Allegedly, the crew prayed calling out the holy names of saints. Lee’s work provokes the same urge. God watch over us! Through the darkness a “muffled and distant, voice of god is unintelligible but resonates beyond the doors”. This is what we need to listen to, and burn with iron until it resonates. Iron has its secrets. A divine power is hidden at its tip as a ‘science of fire’ and with its concentrated power, drives life to be remembered forever, wherein each surface collides. Thus a “life unforgettable” is sensory. It follows the sensory channels.

The is the moment when a relief made by flames, appears and can be sensed by a primitive instinct. As I continue to ponder the Korean word, natanada (to appear), I am wrapped by a sensation of divinity all around – that which expresses itself in a language of “fire,” “smoke” and “smell”, in Lee’s work. Surrounded by five senses, we inhale the heat of life, the burning smell, and it’s stimulant all at once. All this is inevitable, in work of Lee Minha.

(MMCA Residency Goyang)

2018. 11 불의 과학, 신체적 언어 그리고 “망각할 수 없는 것들” (김남수)

이민하 작가: 불의 과학, 신체적 언어 그리고 “망각할 수 없는 것들”

김남수(안무비평)

#1. “빛은 사물의 표면에서 놀고 웃지만, 열은 침투한다.” (바슐라르, 『불의 정신분석』 중에서)

#2. “만약 이 삶 혹은 이 순간이 본질상 망각되지 않기를 요구하는 것이라면, 이 술어는 오류가 아니라 어떤 요구, 인간들이 부응하지 못했던 요구에 부응하는 것일 터(…) 이것은 이 요구에 부응했던 영역, 즉 ‘신의 기억’을 가리킨다.” (벤야민, 『번역자의 과제』 중에서)

이민하 작가의 작업을 보고 있노라면, 저 아득한 태초의 시대로부터 고의적 시대착오를 범해 ‘오늘’이라는 미래로 귀양살이 나온 고대인의 예술 같다. 시간의 거대한 역사적 흐름 속으로 잠수했다가 무엇인가를 건져 올린 듯한 그의 작업은 고대적이며 그의 작업이 마치 “하늘에 부조되는 장엄한 무늬”처럼 본래 장식이 아니라 “무늬는 신의 언어였다”라는 의미에서 신성한 언어를 현재화한다. 고대의 신성성을 이 초연결 메가머신 사회에서 호출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 그리고 종교의 주요 테마이자 심지어 장사수단이었던 신성성의 코드를 예술이 취했을 때 어떤 컨템포러리의 특질로 바라볼 수 있을까. 아감벤처럼 컨템포러리의 의미를 생각하는 사람에게 이민하 작가의 작업은 “고대와 현재 사이의 비밀조약” 같은 것의 살아있는 예가 아닌가. 그만큼 그의 작업은 시간적 매듭의 성향이 아주 강하며, 이 매듭이 재미있는 것은 하나의 풀 길 없는 금지의 매듭이 아니라 본래 하나의 통일된 스피리추얼로 되돌아가는 고르디아스의 매듭처럼 다가온다. 그 매듭의 엉뚱한 나타남이라고 할까.

양가죽 위에 무두질하고 그 매끄러운 표면 위에 인두질을 통해 불의 언어로 무엇인가를 적어 내려간다는 것은 굉장히 풍토적인 동시에 그 해당 풍토의 대지에서도 이제는 근대 이전의 전통으로 관리되는 고대적인 풍습이다. 동굴 속의 목자나 유목 시대의 노마드가 무엇인가 가시적인 것이 비가시적인 영역으로 소멸하여가는 것, 그런 의미에서 아주 특별한 비저너리 – “‘비저너리’는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출발점에서 시작해 이내 일반이 이해할 수 없는 높은 곳으로 뛰어올라 버린다”(콜린 윌슨) – 라고 할 수 있다. 어둠의 공간에서 저편의 삶을 기록한다는 것, 그것도 불의 과학으로 그렇게 한다는 것은 비저너리로써 ‘숨겨진 차원’을 연다는 것이다. 이 ‘숨겨진 차원’의 여밈과 펼침이 가장 발달한 것은 사막이며, 이민하 작가의 작업에는 이 사막의 풍토성이 강하게 풍긴다.

단순한 인두 작업이 아니다. 화인으로 가죽 표면에 글자를 찍는 작업이 아니다. 거기에는 우리가 소유할 수 없는 영적인 지식, 일종의 그노시스를 나타나게 하려는 작가의 의지와 욕망 – 욕망 아닌 욕망 – 이 자기 투신의 형태로 개입하고 있다. 스스로 위험을 무릅쓰면서 자신의 실존적 상황 자체를 되먹임시키는 작업이다. 기술적으로 용인되고 향상되는 작업이 아니라 작가 자신의 경험적 주체가 무한루프로 되풀이 되풀이 부엌 아궁이 속에 넣어지는 작업이다. 이는 어린 양과 사람 목숨이 등가로 표기되는 것이 아니라 어린 양=사람 목숨이라는 등식으로 성립하는 인식론에서 비롯된다. ‘숨겨진 차원’이 나타난다는 것은 어린 양의 희생제 없이는 곤란하다.

무엇인가가 기술적으로 술술 잘 풀려나간다는 것은 근대적인 시스템 속에서 예술이 분화된 기술체계 내부로 포섭됐다는 의미밖에는 없다. 반면, 이민하 작가의 악전고투 같은 투신은 장엄한 무늬로서의 문자가 본래 신의 권능으로부터 인간의 영역으로 이전될 때 엄밀한 의미의 ‘관계 개념’으로서 한 개인의 삶을 희생하는 과정이다. 이 ‘관계 개념’은 제한된 어떤 조건이 그와는 비교할 수 없는 초월적인 무한과 직결되는 매개이다.

#3. “아랍인들을 만족시키려면 폐쇄된 공간은 (…) 탁 트인 전망이 있어야 한다.” (에드워드 윌슨, 『숨겨진 차원』 중에서)

“언어는 존재의 ‘집’”이라고 어느 철학자가 말한 것처럼 이민하 작가의 머무름이자 거주함은 언어이다. 정확히는 문자로 달리는 애벌레 주체로서의 언어이다. 애벌레처럼 기어가는, 캘리그라피화되어 살아서 꿈틀대는, 그럼으로써 생명적인 으르릉거림 – 존 케이지의 <로라토리오(Roaratorio)>처럼 – 이 강렬한 언어이다. 아랍 문자, 한자, 가나 문자 등등 흐르는 문자들이 갖는 그 여정과 흔적이 그대로 생명성의 징후로 나타난다. 그때는 애벌레 문자가 나아가는 각도와 방향조차도 언어이다. 갈림길에서 이쪽이냐 저쪽이냐는 중대해진다. 그때 언어는 외친다고 할까. 이 길이다! 그 길 안에 이 삶의 영원한 무늬를 찍어 넣겠다며, 아니 넣겠다는 듯이. 어떤 문자는 발음할 수 없으며 본래 신이 쓰던 것이라고 한다.

그런 관점일 때, ‘집’이란 돌아가야 하는 곳이다. 이 세계에 나타날 때는 그 ‘나타남의 사건’이 축복받고 기름 부음 받지만, 우리는 본래의 그 무면목(無面目) – 창조된 원류 그대로 혼돈의 “이목구비 없는 얼굴” -을 잃어버리고 망각한다. ‘집’은 모든 존재자가 모여들어 그동안 그러모은 사물의 언어와 질감 대신에 존재라는 그 첫 번째의 의미를 회복하는 씨앗의 방이다. 이민하 작가의 인두 작업은 사람들의 내력과 사연이 간명하게 불의 권능으로 쓰여져서 소리와 냄새로 음미 되는 과정에서 ‘집’으로 되돌아가게 한다. 거기에는 ‘집’의 전망이 있다.

이민하 작가는 왜 무두장이처럼 양가죽 위에 인두로 지지는 작업으로 자신의 영적인 지식, 그노시스를 표현하려고 할까, 라고 질문한다면, 위와 같은 대답도 가설적으로 가능할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그가 쓰는 인두라는 도구이자 머신이 하나의 불의 과학 – 현대과학은 이 “‘불’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아직도 묵묵부답이다 – 의 소산이란 사실을 살펴봐야 한다. 이 인스트루먼트가 고대적인 연원을 갖는 것은 분명하지만, 이민하 작가의 사용 방식은 양가죽 위에 겹쳐 쓰기 하는 것이 아니라 신의 불로 그대로 텍스트를 초벌 찍기 하는 것이다. 불의 언어, 불의 과학으로 오류 없이 쓰이는 책인 것. 그러므로 모든 생명이 돌아갈 비전과 함께 ‘집’의 전망이 있고, 그런 ‘숨겨진 차원’을 가시화하는 ‘비저너리(visionary)’의 내력이 가능하다. 다만 그러므로 이민하 작가의 작업은 더 모험적이고 신화적인 수사의 세계에서 조망할 필요가 있다. 그 작업은 종교적 성향과도 잇대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요청은 어떤 의미에서는 필연적이다.

이민하 작가의 인두는 빛의 작업이 아니라 열의 작업이다. 그 열은 “침투하는 열(熱)”이다. 그 열기는 사람의 피부에 치직거리는 음향과 살타는 누린내 그리고 고통의 상상력이 환기되는 고대와 중세로부터 전해진 집단 무의식의 기억이 있다. 이 기억의 연대기를 펼치는 것이 이리저리 굴곡진 양가죽 표면이다. 이는 피하지방 아래 무의식화된 원형질적 기억들이 오래된 여행을 통해 우리에게 전달되는 어떤 타블로 판 같은 것이다. 이민하 작가가 불의 열기로 작업하는 공간은 이 판이다. 판은 사람들의 삶의 얼룩과 신산 그리고 망각되어서는 안된다는 윤리적 요청들로 가득하다. 그러므로 그것은 ‘신의 기억’(벤야민)으로만 가능하다. 이민하 작가의 작업이 동행하는 종교성은 이러한 측면에서 추론된다. 모든 것은 펼쳐내고 그 펼쳐낸 삶의 가혹한 깊이, 사연 많고 하염 많은 삶의 기록, 감히 공감이라고 말하기 버거운 차원에서 그 모두를 감당해내는 것이 라이프니츠적인 의미에서 ‘신’이다. 그에 따르면, 고백하는 것은 ‘신’이며, 어떤 고백은 ‘신적’이다.

#4. “불 속에서 자신의 고유한 무(無)를 찾는 것, 이것은 인간의 위대함을 말해준다.”(엠페도클레스)

이민하 작가의 작업에서 느껴지는 위상학은 이런 것이다. 신 스스로 ‘오늘’이라는 정신의 한 인간이 거처하는 곳에 나타나기 위해서는 이런 특별한 작업의 행간과 복선 그리고 알레고리가 필요한 것이라고. 겹과 켜, 직접성과 현전성, 후각적 정신과 고도의 그노시스 같은 것들. 지금에 와서는 미디어 아트의 맥락에서 떠내려가듯 점차 폐기되어버렸다고, 뉴 미디어가 올드 미디어를 구축하는 것처럼 괄호 쳐졌다고 믿는 시대에 이민하 작가는 돌연히, 돌올하게 그 미디움(medium)의 시원적인 기호를 다시 호출해버린다. 그것도 모든 삶은 불멸이며, 불멸의 삶은 망각할 수 없다고 주장하는 것처럼. 망각할 수 없는 것은 우리에게 불멸을 알게 해주는 기호라고 증언하는 것처럼. “기념비도 추억도 심지어 증인조차도 없는데도 불구하고 망각되지 않은 채 남아 있는 삶”(벤야민)이 있다. 이 탁월한 긍정성이 인두와 그 불의 과학이 남기는 낙인의 흔적으로서의 문자 속에 깊이 도사리고 있으며, 마치 피닉스처럼 부정성이 변환된 긍정성으로 출현한다.

“모래바람에 눈을 감았다 뜨니 인천이었다.”

“진심이 담기지 않은 행동은 이기적인 자기만족.”

“마음속에서는 사람들을 그리워하며 살고 있다.”

“결혼과 함께 새로운 삶의 방식을 요구받았다.”

“얇은 종이처럼 팔랑거리는 차별들이 내 삶에 팽배했다.”

불 속으로 뛰어드는 인간처럼, 그럼으로써 피닉스와도 같이 되살아나는 삶, 거기에 영원성의 지표이자 무늬가 찍혀진다는 듯이 이 종교적 언약 비슷한 느낌이 이민하 작가의 작업에는 있다. 거기에는 망각할 수 없는 것의 본질이 어떤 강렬도의 척도로부터 작동한다는 무언의 암시 같은 것이 있기 때문이 아닐까. <아남네시스(Anamnesis)>(2017)에서 이민하 작가는 상징적으로 인두질이 일어나는 타블로 판처럼 누워 있으며, 다른 이방의 사람들이 가진 각자의 사연들이 제각각의 다른 문자 체계의 잠언적인 언어로 화인된다. 그때 이민하 작가의 신체는 문자와 언어는 다르지만, 다시 헤쳐모이는 ‘집’으로서 일종의 바벨탑과도 같다. 흩어졌던 언어들이 영적인 씨앗의 방으로 모음 되는 곳, 거기에는 이민하 작가의 신체가 제공된다. 이 신체는 어린 양의 신체인 동시에 불길로 휩싸인 신체이며 동시에 잿더미이다. 그다음 순간, 재 속에서 다시 살아 오르는 다른 생명체의 신체이다. 바슐라르는 이를 ‘불의 새’라고 봤으며, 이민하 작가는 ‘상기(想起)’라고 봤다. 무엇을 상기하는가. 자신이, 또한 그 누구나 알아차리면 ‘불의 새’라는 엄연한 사실, 그노시스를 상기하는 것이다. 불의 과학으로 쓰이는 신체적 언어는 이처럼 희생제를 통한 ‘상기’라는 현상으로 나타난다.

어떤 작업에서 이민하 작가는 인두로 문자를 찍고 그 화인 작업을 현재화하는 동시에 그 문자를 읊기도 한다. 통조림 된 문자가 아니라 불로 살아있는 문자가 퍼포먼스가 되는 것이다. 이때는 거대한 동굴이나 궁륭공간이 높은 중세도서관 같은 공간성으로 공명하기 시작한다. 쓰면서 읽는 것, 청각적 이미지를 통한 시각적이며 개념적인 차원의 개방은 ‘상기’의 가장 기본적인 루프이다. 가령, 로베르 브레송의 영화 <어느 시골사제의 일기>에서 건강이 좋지 못한 젊은 사제는 고뇌하면서 일기를 적는데, 일기는 빈 여백에 쓰이면서 동시에 보이스오버로 읽힌다. 그리고 번역되는 자막은 다시 이 일기 내용을 가시화한다. 자신의 성독(聲讀)으로 울려진 텍스트를 다시 자신의 귀로 듣는다는 것은 공명하는 공간 자체가 부활하는 삶, 망각될 수 없는 삶의 기초라는 것이다. 그 공간성을 이민하 작가는 자신의 퍼포먼스에서 드러낸다.

이 세상을 살아간다는 것은 누구에게나 고통의 바다를 항해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그 바다 위에서 폭풍우를 만나 난파 직전까지 몰리는 것이 일반적이며, 지금의 신자유주의 시대에 악마의 맷돌이 돌아가는 사회에서 가속화되어 있다. 그런데 이민하 작가는 그러한 사회에 대한 응전의 형식이 아니라 그러한 사회로 초기 세팅된 정신적 형식을 완전히 새로운 서판으로 바꿔치기하여 깊은 망각 속에 있는 것들을 기록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아니 ‘상기’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왜? 망각될 수 없는 것들이기 때문이다. 덧없는 삶은 덧없지 않다는 것, 이때의 ‘덧’이라는 찰나지간, 익명성, 겨를 없음은 그대로 영원성의 표지이다. 그 자체로 ‘덧’의 시간성은 불의 언어로 고정되고 가시화된다. 아니 신체화되어 타인의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의 것이 된다. 그노시스의 알아차림을 통해 이 삶의 고해를 항해하자는 것이 자칫하면 종교적 관념의 틀 속에서 헐벗은 반복이 될 수도 있지만, 이민하 작가는 그 인두질의 신체적 감각, 희생제적 자기 투신, ‘상기’와 부활의 본질로서 삶을 다시 바라보기를 요청한다. 아니 충격파를 던진다.

다시 한 번 더 묻는다. 왜 이민하 작가는 무두장이처럼 양가죽 위에 인두로 지지는 작업으로 자신의 영적인 언어를 추구하게 되었을까. 여기서 인두는 그 금속의 첨점 끝에 마치 ‘성 엘모의 불’처럼 응결된 불의 권능을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마치 끝이 없는 거대한 파타고니아 협곡 사이를 아무런 안전보장이나 믿음 없이 그대로 던져진 운명의 무늬처럼 항해해갔던 마젤란 함대가 어느 모퉁이에서 번갯불이 돛대 끝에 둥글게 맺히는 현상을 만난 것처럼 말이다. 그때 선원들은 성스러운 여성의 이름을 부르면서 기도했다고 하는데, 이민하 작가의 작업은 바로 그러한 충동을 자연스럽게 촉발한다. 신이시여! 우리를 굽어살피소서. 암(闇), “울울하고 암암할 신의 소리는 알아들을 수 없지만 문밖까지 울려 나온다.” 우리는 그 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하고, 그 소리가 울려 나올 때까지 인두로 지져야 한다. 인두는 비밀스럽다. 인두의 그 끝에 도사린 어떤 신적인 권능이 ‘불의 과학’으로 잠재해 있으며, 그것의 응축된 힘이 어떤 표면과 만나 화인될 때는 삶을 망각할 수 없는 지경으로 몰고 간다는 것이 아닌가. 그런데 “망각할 수 없는 삶”이란 감각적이다. 감각의 경로를 따른다.

불길의 부조, 그 나타남의 사건은 마치 저 아득한 태초의 감각으로 일어난다. 우리말 “나타나다”는 음미할수록 어떤 신성한 현현의 느낌을 안으로 감싸고 있는데, 이민하 작가에게는 “나타나다”라는 동사는 그대로 ‘불’과 ‘연기’ 그리고 ‘냄새’의 언어로 표출된다. 오감으로 뒤덮인 채, 우리는 삶의 뜨거움과 누린내와 각성제를 한꺼번에 들이킨다. 이민하 작가의 작업 속에서 이는 불가피하다.

국립현대미술관 고양레지던시 비평모음집에서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