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Kiryu Saien 14

Kiryu Saien 14
1_Minha LEE_The Night View of a Snack Bar Na-Na_digital print_103x145.6cm_2008

My Cup Runneth Over

KiryuSaien 14 : My Cup Runneth Over

Planning : HwaHyun KIM and Minha LEE

Period : October 4 (Sat.) to December 3 (Mon.), 2008  (12days)

Open on Saturdays, Sundays and National Holidays

Venue : Old Snack Bar ‘Na-Na’, Kiryu City, Gunma Prefectural, Japan

Organized by The Organizing Committee for KiryuSaien 14

 

My Cup Runneth Over
HwaHyun Kim + Minha Lee

 

Ki Ryu Saien(기류재연 桐生再演 http://www.kiryusaien.com/index.html) started out as a self-initiated art event by the alumni and students at Tokyo University of the Arts in collaboration with the people of Ki Ryu. Artists select vacant spaces throughout the city, and negotiate with community members on how to remodel them into exhibition spaces. Since its first show in 1994, Ki Ryu Saien has brought to life many deserted spaces such as the city’s signature factories with ‘Nokogiri’ roofs (pointed like saw blades), Shinto temples, an old hair salon, and Ki Ryu’s prized historic Hikobe houses. Ki Ryu Saien is now an annual event, sponsored by the Japan Arts Fund.

 

For the 14th Ki Ryu Saien, HwaHyun Kim and Minha Lee occupy a former ‘snack bar’ to install their works under the theme of “the sacred and the profane.” Kim places her works on the 1st floor, where the ‘snack bar’ used to run business; and Lee installs hers on the 2nd floor space, which had been a staff lounge.

In Lee’s works there is an undeniable sense of the sublime which can easily be traced back to religious art. Reaching to the ceiling of the tiny lounge on the 2nd floor, Lee’s huge black pillars look as if columns from a sacred edifice had invaded into the everyday living quarters. Their enormous scale and the details that fill up the vast expanse overwhelm the viewer at first sight, yet it only takes moments for the viewer to realize that what make up these sublime, inhuman things are layers and layers of minute markings, which means hours and hours of labor: a very human labor. Her accumulated time and effort turn into something entirely different from what they are made of. It is not unlike a ceaseless prayer resulting in salvation: quantity turning into quality. We can never pinpoint the exact moment where Lee’s work stops being human and becomes inhuman, for it is both at the same time and therefore shifts endlessly between the everyday world and the realm of eternity.

 

HwaHyun Kim’s interest, on the other hand, remains mostly on what goes on in the secular domain. She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bar on the first floor used to host very mundane activities: a “snack bar,” a purely Japanese invention–pronounced “su-nah-ku”–is a place where guests could expect the female employees to sit next to them and keep them company while they drink and sing to the karaoke machine. Kim places her paintings of beautified manga boys on the countertop where barmaids used to greet customers. This place was one of many places where men could just go (publicly) and what they want. Kim ponders if there is a place where women can go when they have such cravings. Her installation invites viewers to observe how one group of people’s desires meet no sanctions—social or legal—and are turned into a business even, yet other people’s desires are treated differently.

As HwaHyun Kim and Minha Lee unfold their stories on the sacred and the profane, the residents of Ki Ryu will drop by with their memories of the “snack bar” Na-Na. The artists are looking forward to the stories the locals will bring, and how these will fuse with theirs.

내 잔이 넘치나이다

기류재현14 : 내 잔이 흘러넘치나이다

기획 : 김 화현+이 민하

기간 : 2008년 10월 4일(토)~11월 3일(월) 12일간

토요일, 일요일, 휴일에만 오픈

장소 : 구 스낵바 나나, 일본 군마현 기류시

주최 : 기류재현14 실행위원회

 

내 잔이 넘치나이다
김화현+이민하

 

기류사이엔(기류재연 桐生再演 http://www.kiryusaien.com/index.html)은 일본 군마현 기류시에서 매년 9~10월에 한 달 간 열리는 미술행사로서, 1994년 도쿄예술대학의 졸업생과 재학생들이 기류시 시민들과 협력하여 첫 전시를 연 이래, 전시는 물론 다양한 워크숍 프로그램도 제공하며 기류시에 새로운 생기를 불어넣고 있다. 기류사이엔의 특징은 전시 기획자들이 직접 시내의 버려진 공간을 찾아내어 주민들의 교섭을 거쳐 전시장소로 사용한다는 점이다. 이 과정을 통해 과거 방직공업으로 번성했던 기류시에 아직도 많이 남아있는 노코기리 지붕(톱날 모양 지붕)의 빈 방직공장 등, 마을의 역사를 담고 있으나 잊혀져 가던 공간들이 다시금 주민들의 관심을 받게 되었다. 기류사이엔의 2004년 아카이브에 의하면 전시장으로 활용된 공간에는 폐공장, 창고, 길가, 신사, 육교, 동물원 내 휴게소, 공원 내 온실, 다리, 강가, 변전소, 공민회관, 구 미용실, 구 은행점포, 광장, 역사, 보육원, 민가는 물론 국가지정의 중요문화재인 히코베 주택 등 다양한 공간이 포함되어 있다.
참여작가 선별조건 등은 없으며, 참가의사를 밝힌 작가들이 자유롭게 제작 및 발표를 하고 있다. 기류사이엔 운영의원회인 ABC (Abductive-art Collaboration)에서는 95년부터 예술문화진흥기금(Japan Arts Fund)을 받아서 전시운영기금으로 사용하고 있다.

2008년 제 14회 기류재연 때 김화현과 이민하가 기획한 전시의 제목은 <내 잔이 넘치나이다>이다. 작가들은 과거 ‘나나’ 라는 술집으로 운영되던 건물의 1, 2 층을 모두 사용하여 “성(聖)과 속(俗)”에 관한 작품을 설치한다.
이민하는 ‘숭고함’을 주제로 작업해 오고 있으며, 이번 전시에서도 그의 작품은 거대하고 절대적이며 거부할 수 없는 것을 형상화한 작품을 선보인다. 술집이었던 ‘나나’ 의 종업원들이 휴식을 취하던 공간인 2층 방에 설치된 이민하의 거대한 검은 기둥들은 마치 일상의 공간으로 침범해 들어온 신전의 구조물 같다. 흥미로운 점은, 이렇듯 이질적이고 압도적인 존재감이 알고보면 지극히 인간적이기 그지없는 노동의 축적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이다. 가까이서 들여다보면 기둥 표면이 작가가 손글씨로 필사한 각 종교의 경전으로 채워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속세의 시간과 노력이 쌓인 결과 전혀 다른 시공간에 속하는 듯한 무엇인가가 탄생하였다. 마치 양이 질로 변하는 기도를 시각화한 듯하다. 작품이 정확히 어느 지점에서 세속의 영역에서 영속의 영역으로 이행하는지 모호하기에, 두 속성을 모두 지니고 있으며 끊임없이 그 두 영역을 왕래한다고 볼 수 있다.

 

김화현은 ‘나나’가 지극히 통속적인 욕구에 대한 해소를 제공하던 장소라는 점에 주목한다. ‘나나’ 는 소위 ‘스나쿠(snack bar)’ 로 분류되는 술집이었는데, ‘스나쿠’ 는 일반적으로 주류 및 가라오케 시설을 구비하고 있으며 여성 종업원들로부터의 접대 역시 제공하는 곳이다. 작가는 과거 여성 종업원들이 손님을 맞던 카운터에 순정만화적인 그림을 놓고, 미소년들이 관객을 맞이하도록 하였다. 이는 여성들이 자신들의 취향과 욕망을 솔직하게 드러냈을때 그것이 어떤 취급을 받는지에 대하여 관심을 기울여 오던 김화현의 작업이 ‘나나’ 라는 특정한 장소와 맞물린 결과이다.
“성(聖)과 속(俗)”이라는 주제 아래, 이민하는 속세와 반대축에 있는 성스러움에 관해 생각해 볼 기회를, 김화현은 속세 자체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돌아볼 기회를 펼친다. 두 작가 모두 오랜 기간 다루어 오던 이 주제에 대한 이야기를, ‘나나’를 기억하는 기류의 시민들과 함께 나누어 보고자 한다.

私の杯は、あふれています

桐生再演14:私の杯はあふれています

企画:金 和賢+李 旻河

会期:2008年10月4日(土)〜11月3日(月)、12日間

土曜日、日曜日、祝日にオープン

会場:旧スナック・ナナ、群馬県桐生市

主催:桐生再演14実行委員会

 

私の杯は、あふれています
金和賢+李旻河

 

桐生再演は、群馬県桐生市で毎年9〜10月に、1ヶ月間行われるアートイベントである。1994年に東京藝術大学の卒業生や在学生が桐生市民と協力して始まり、展示やワーク・ショップなどのイベントも兼ね、桐生市に新たな活気を吹き込んでいる。桐生再演の特徴は、参加者が自ら市内をリサーチし、放置された空間を探し出し、持ち主と交渉してから展示場所として使用することである。この過程を通じて近代に紡織工業で栄えた桐生市に未だに多く残っているノコギリ屋根の空き工場を始め、村の歴史が色褪せている空間が、再び人々の関心を浴びることになった。2004年度のアーカイブによると、展示場所として使われた空間には、空き工場、倉庫、道端、神社、歩道橋、動物園の休憩所、公園の温室、橋、川沿いの空き地、変電所、公民館、旧美容室、旧銀行、広場、駅舎、保育園、民家は勿論、国指定重要文化財の彦部家住宅など様々な空間が含まれている。

 

2008年度、桐生再演14にて、李旻河(イ・ミンハ)は桐生市内のリサーチで、空き店舗であるスナック・ナナを発見し、金和賢(キム・ファヒョン)に提案した。李と金が企画した展示のタイトルは、「私の杯はあふれています」である。作家たちは、旧スナック・ナナの建物1階と2階を両方使い、「聖と俗」に関する作品を設置することにした。
李旻河は、今まで「崇高」をテーマとして制作をしており、今回の展示では絶対的であり、拒否できない何かを形象化する作品を見せる。スナックだった「ナナ」の従業員が休憩を取っていた空間である2階の部屋に設置される李の巨大な黒い柱は、まるで日常の空間に侵犯してきた神殿の構造物の様である。興味深いところは、このように異質的で圧倒的な存在感のものが、実は極めて人間的な労働の蓄積でできていることだ。近くで覗いてみれば、柱の表面には作家が手書きで写経した経典の文章が書き込まれている。俗世の時間と努力が積み重ねられた結果、別の時空間に属しているような何かが生まれている。さながら「量が質に変わるような祈り」を視覚化しているようだ。作品が正確に、どの時点で世俗の領域から永続の領域に移行しているのかが曖昧であるが故に、両方の属性を持ち、絶え間なくその両方を往来していると思われる。

 

金和賢は、「ナナ」がとても通俗的な欲望を解消する場であることに注目する。作家は、スナックの女子従業員が客を迎えていたカウンターに、純情漫画風の絵を置き、絵の中の美少年が観客を迎えるようにする。これは、女性が自分の好みや欲望を率直に表した時、どのような態度になるのかという興味を注いできた金の作業が、「ナナ」という特定な場所と噛み合った結果である。
「聖と俗」というテーマの基で、李旻河は俗世の反対側にある聖なるものについて考えてみるきっかけを、金和賢は、俗世の中で起きる現象を振り向いてみるきっかけを提供する。二人の作家が長い間扱ってきたこのテーマに対する話を、「ナナ」を記憶している桐生の市民と一緒に分かち合いたいと思う。

金和賢+李旻河 ©2008

2_Minha LEE_Wash your hands Look at the mirror_entrance installation_fresh flowers_texts_sixe variable_2008 3_HwaHyun KIM_My Cup Runneth Over_color on Korean paper_35.5x26.5cmx4pcs_2008 4_HwaHyun KIM_1F installation view_2008 5_HwaHyun KIM_My Cup Runneth Over_color on Korean paper_35.5x26.5cm_2008 6_Christine A. Ehlinger_The Sacred and the Profane_poem_2008 7_Minha LEE_The Monument_pencil on black paper tube_4 holy scripts and 9 languages_Ø45_Ø40_Ø35_Ø30_Ø25x223cm_2008 8_Minha LEE_2F detail view_2008 9_Minha LEE_2F installation view_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