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nk Tree
Think Tree : 2014 Guro Rainbowbridge Festival – Participatory Public Art Project
Title : One Roof & World Family
Period : November 15 (Sat.) 2014 ~ April 2016
Venue : Guro Arts Valley, Seoul, Korea
Organized by Guro Cultural Foundation
Sponsored by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rts Council Korea
Instructor : Minha LEE, Assistant Instructor : Mira KIM
Participants : Eun-hee Kwon, Mi-suk KIM, Jong-hee BAE, Jin-suk BECK, Gyu-suk LEE, So-yeong JEON, Yun-jeong JEON, Yeong-chun CHOI, Hyun-suk HWANG
Material : Korean papers, Glues, Kongdem(wax the floor paper with ground beans), Natural Dyeing(Turmeric, Wormwood, Gallnut, Gromwell, Polygonum Indigo, Gardenia Seeds, Safflower, Amur Cork Tree etc.), Woods, Polycarbonates, Window Frames and Handmade Objets etc, 50 LED Ramps
Size : (w)5x(d)1.5x(h)6m
Concept
Home to people from diverse backgrounds, Guro retains vestiges of its past as the Guro Industrial Complex. Furthermore, it is a future-oriented place that seeks to establish itself as a digital valley. Perhaps the biggest charm of Guro lies in the fact that its multiple facets cannot be defined in just one word.
The keyword of this project is “harmony”. The house-shaped structure which conveys Korean sentiments includes seven window frames symbolizing various ethnic groups and countries. Windows represent our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the world. There are Western-style window frames as well as Chinese-style ones. In addition, there are window frames of the past as well as those of the present and future. This work has its root in the participants’ will to create a place of harmony and co-existence.
This project is an attempt to introduce New Genre Public Art, which is yet unfamiliar in Guro. Breaking free from the existing practice of dispatching a participating artist to a designated area to set up his or her work, local residents in agreement on the installation of the work gathered to devise the theme and shape of the work on their own. I took on the role of director and helped ensure the successful completion of the work. In particular, based on my previous experience of using various materials, I gave advice on what materials they should use.
In terms of achieving the balance between artistic completion and public concern, this project was carried out successfully. Having forged a sense of solidarity with the participants, I hope to have a chance to work with them again in the future. Moreover, some of the participants confessed to undergoing inner transformation through this new experience, which certainly added to the overall significance of the project.
Whereas public sculptures in the past were made of stone, lumber or metal, these days chemical materials are mostly used. To start with, I considered how to construct an outdoor public sculpture using natural materials instead of metal or plastic. I eventually thought of Korean paper waxed with ground beans (The process of waxing floor paper with ground beans is known as ‘kongdam’.) i.e. laminated paper lacquered with bean oil, and suggested it to the participants.
Once waxed with ground beans, paper becomes water-resistant as bean oil functions as a natural coating agent in the same way as varnish. In addition, by repeatedly waxing the paper with ground beans after each color was added, it was possible to create layers of transparent and overlapped bottom colors. In daylight, we observe the delicate colors of the window frames made from Korean paper dyed with natural dyes, as well as the objet of each window. At night, light seeps out from the lamps inside the structure.
1) Public Art Class
2) Guro Research
3) Designing the Sculpture
4) Co-production of the Main Material: Laminated Paper Lacquered with Bean Oil
5) Production of the Participants’ Individual Works
6) Installation of the Sculpture
7) Sharing the Work with Others
See the following video documentation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BJksjf_C3ko
생각의 나무 : 2014 구로 무지개다리사업 시민참여형 공공미술 프로젝트
작품명 : 한지붕 世가족
기간 : 2014년 11월 15일(토)~2016년 4월
장소 : 구로아트밸리 예술극장 야외 유리분수대
주최 : 구로문화재단 문화사업팀
후원 :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주강사 : 이민하, 보조강사 : 김미라
참가자 : 권은희, 김미숙, 배종희, 백진숙, 이규숙, 전소영, 전윤정, 최영춘, 황현숙
재료 : 2합 장지에 아교포수와 콩댐, 천연 염색(강황, 약쑥, 오배자, 자초, 쪽, 치자, 홍화, 황백 등), 목재, 폴리카보네이트, 창틀 등 오브제, LED 전구 50개
크기 : (w)5x(d)1.5x(h)6m
다양한 이웃들이 모여 사는 구로는 옛 구로공단과 관련된 과거의 정취가 남아있는 곳이기도 하고, 디지털 밸리를 추구하는 미래지향적인 도시이기도하다. 한 단어로 단정짓기 어려운 다양한 모습을 가진 것이 구로의 매력이 아닐까.
작품의 키워드는 ‘화합’이다. 한국적인 정서를 느낄 수 있는 집 형상의 구조물에 다양한 민족과 나라를 상징하는 창틀이 7개 포함되어 있다. 창은 세상을 바라보는 우리들의 인식과 사고를 의미한다. 서양식 창틀이 있는가 하면 중국식 창틀도 있고, 과거의 창틀이 있는가 하면 현재와 미래의 창틀도 있다. 이 작품은 화합과 공존의 장場을 만들고자 하는 참가자들의 의지로 만들어졌다.
본 프로젝트는 구로에서는 아직은 낯선 새로운 공공미술(New Genre Public Art)의 시도이다. 참여 작가가 해당 지역에 파견되어 작품을 설치하는 기존의 관행에서 벗어나서, 작품설치의 필요성을 공감하는 주민들이 모여서 스스로 작품의 주제와 형상을 고안해냈다. 작가는 지금까지 다양한 소재를 다루어 본 경험을 활용해서 재료를 제안하거나 도움을 주는 방법으로 작품이 무사히 완결될 수 있도록 조정하는 감독의 역할로 참가했다.
작품의 예술적 완결성과 공공성의 조화라는 관점에서 보자면 성공적으로 수행된 프로젝트로서 작가와 참가자 사이의 인간적인 유대감이 형성되고 추후에도 같이 작업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이 생겨났다. 또한 참가자들 사이에서 새로운 경험으로 인한 내면의 변화를 고백하는 사람들도 나와서 더욱 뜻 깊은 프로젝트였다고 생각한다.
공공조형물은 석재, 목재, 금속 재료를 거쳐 최근에는 화학 소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금속이나 플라스틱 소재가 아닌 천연 소재로 야외에 설치될 공공조형물을 만들 수는 없을까하고 고민하던 중에 콩댐이 된 한지 즉 장판지를 떠올려서 참가자들에게 제안했다.
콩댐은 니스와 같은 역할을 하는 천연 코팅제로서 생활방수 정도의 성능을 지닌다. 또한 색을 칠하는 과정마다 콩댐을 발라줌으로서 밑색이 투명하게 겹쳐서 보이는 레이어의 역할도 가능하다. 낮에는 천연염료로 염색한 은은한 색감의 한지틀과 각 창문 오브제들을 감상할 수 있고, 저녁에는 내부의 조명을 통해 빛이 새어나오는 모습을 감상할 수 있는 조형물이다.
-작업 순서-
1) 공공미술 수업
2) 구로 리서치
3) 조형물 구상
4) 작품의 주재료인 장판지 공동 제작
5) 참가자들의 개별 작품 제작
6) 조형물 설치
7) 나눔의 시간
아래 링크에서 기록 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BJksjf_C3ko
考えの木:2014九老虹橋事業市民参加型パブリックアートプロジェクト
作品名 : 屋根一つ’世’家族
期間:2014年11月15日(土)〜2016年4月
場所:九老アーツバリー芸術劇像、野外ガラス噴水台、ソウル、韓国
主催:九老文化財団
後援:文化体育観光部、韓国文化芸術委員会
主講師:イ•ミンハ、補助講師:キム•ミラ
参加者:クォン•ウンヒ、キム•ミスク、ベ•ゾンヒ、ベク•ジンスク、イ•ギュスク、ジョン•ソヨン、ジョン•ユンジョン、チェ•ヨンチュン、ファン•ヒョンスク
材料:二合韓紙へ膠引きとコンデム、天然染め(薑黃、薬艾、五倍子、柴草、藍、梔子、紅花、黃柏など)、木材、ポリカーボネート、窓枠などのオブジェ、LED電球50個
サイズ:(w)5x(d)1.5x(h)6m
様々な背景を持つ人々が住んでいる九老(グロ)は、昔の九老公団と関連する韓国近代の情趣が残っている場所であり、最先端のデジタル⋅バリーを求める未来志向的な都市でもある。一つの単語で断定しづらい多様な姿を持っていることが、九老の魅力であろう。
作品のキーワードは、「和合」である。韓国的情緒を漂わす家に似た構造物に、様々な民族と国を象徴する窓枠が7つ含まれている。窓は世界を眺める私たちの認識と思考を意味する。西洋風の窓枠や、アジア風の窓枠もあり、過去の窓枠から現在と未来の窓枠もある。この作品は、和合と共存の場を作って行きたい参加者たちの意思で出来ている。
本プロジェクトは、この地域ではまだ見慣れない新たなパブリックアート(New Genre Public Art)の試みである。参加作家が地域に派遣され、一方的に作品を設置してきた既存の慣行から離れ、作品設置の必要性を共感している住民たちが集まり、自ら作品のテーマと形象化を工夫したのである。作家は、今まで多様な素材を扱ってきた経験を十分活かし、材料を提案したり、実際の制作を手伝うことで、作品が無事に完成できるように導く監督役を行った。
本プロジェクトは、作品の芸術的完結性と公共性の調和という観点からみると、成功的に行われたプロジェクトである。そして、作家と参加者の間で人間的な繋がりができ、次回も一緒に作業ができたらという心が生まれた。また参加者の間では、新しい経験による内面の変化を告白する人が出て、さらに意義深いプロジェクトであったと思う。
公共造形物は、石材や木材、金属材料を経て、最近は化学素材が主流になっている。金属やプラスチックではない天然素材で野外に設置できる作品を悩んだ所、コンデム(生豆から採った油を塗ること)したオンドル紙(韓国伝統の厚い油紙)を思い出し、参加者たちに提案した。
コンデムは、ニスと同じ役割をする天然コーティング剤であり、生活放水ができる程度の性能を持つ。また、色を塗る毎にコンデムをすると、下色が見える透明性のあるレイヤーができる。この作品の見所は、昼間は天然染料で染めた淡い色感の韓紙枠と各窓枠のオブジェが感想できることと、夜間は内部の照明から光が漏れ出す姿である。
- 作業手順 -
1) パブリック⋅アートに関する講義
2) 地域リサーチ
3) 造形物の構想
4) 作品の主な材料である厚い油紙を共同制作
5) 参加者の個別作品の制作
6) 作品の設置
7) 話し合いの時間
以下のリンクで、記録映像をご覧いただけます。
https://www.youtube.com/watch?v=BJksjf_C3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