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박세연

2014.5 이민하: 타는 목마름, 아로새겨진 인간됨의 흔적 (박세연)

이민하: 타는 목마름, 아로새겨진 인간됨의 흔적
박세연(미술이론)

이민하는 종이와 가죽에 기도문을 쓰는 작업을 해왔다. 이를 위해 작가는 다국어로 된 기도문을 수집하고 그것을 한 글자 한 글자 필사(筆寫)한다. 그리고 그 과정을 거친 화면에는 국가와 종파, 인종을 초월해서 모여진 다양한 언어의 기도문들이 교차하고 중첩되면서 만들어낸 다채로운 족적이 남겨진다.

이렇게 기도문이라는 텍스트를 가지고와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일견 기성 종교에 대해 표현하고자 한 것으로 생각될 수도 있지만, 사실 작가가 주목한 것은 ‘반복해서 어떤 행위를 하는 사람들의 태도나 마음가짐’에 있다. 작가 노트에 따르면 ‘기도’하는 행위는 ‘성(聖)과 속(俗)’이라는 인간성의 딜레마가 표출되는 접점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인간이라면 누구나 자신의 안위를 최우선으로 하는 본능을 가지고 있지만 그와 함께 이타적이고 보다 높은 차원을 지향하고자하는 마음 또한 가지고 있을 것이라는 이야기이다. 즉 작가는 기도의 목적이 세속적인 것을 지향하든 숭고한 것을 지향하든 무언가를 간구하고 소망하는 기도라는 행위 자체가 가지는 진실성에 주목하였고 ‘기도’를 인간의 본질, 인간다움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테마라고 상정하게 된 것이다.

기도문을 필사하기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보면 화선지 위에 붓과 먹으로 반복해서 선을 그었던 작업을 볼 수 있다. 담묵을 중첩해서 반복하는 선 긋기 행위를 통해 작가는 무아지경에 가까운 몰입을 경험하고, 반복 행위의 수행적인 측면을 자각할 수 있었을 것이다. 필사라는 것 역시 예부터 현재까지 행해지고 있는 종교적인 수련의 한 방법이라는 것을 생각해보면, 선을 긋는 행위와 경전이나 기도문을 필사하는 행위 사이의 유사성에 착안하여 현재의 작업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처음에 종이에 연필로 필사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던 작업은 그 재료가 가죽과 인두로 바뀌어 진행되어 왔다. 흥미롭게도 종이에서 가죽으로 재료를 변경하게 된 것은 광우병에 대한 뉴스를 접한 것이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인간을 위해 대량 살육되는 동물들을 보며 인간성이 상실되어가는 과정을 목도하게 된 것이다. 또한 작가는 예부터 천대받고 하위 산업으로 여겨진 가죽 산업에 내포된 차별과 억압의 역사까지 떠올린다. 이와 같은 연상 작용은 작가가 이러한 문제를 비롯하여 전쟁과 종교 분쟁 등 인간다움과 그 상실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고민해왔던 것이 바탕이 되었다.

무두질 처리가 된 소가죽이나 양가죽 위에 인두로 기도문을 새기는 작업. 가죽 위에 뜨겁게 달궈진 인두로 지지면 가죽 타는 냄새와 연기가 나게 되는데 작가는 이를 통해 전쟁과 기아, 학살 등의 문제를 떠올린다. 성스러운 기도문을 필사하고 있지만 그와 동시에 살이 타는 것 같은 냄새가 나고, 이렇게 가죽을 지져서 태움으로써 글자가 각인되는 과정은 파괴적인 성격을 띤다. 이러한 모순적인 속성이 생겨나는 지점이 작가가 관심 가지고 있던 문제들을 환기시키면서 기도문의 필사 작업은 계속 이어져 간다.

작가는 작업과정을 통해 경험하고 느낀 것들을 관객과 공유하기 위해 여러 시도를 해왔다. 관객들 앞에서 공개제작을 해서 관객을 직접참여하게 하고, 작가를 대신해 필사하는 장치를 고안해서 설치되어 있는 완성작품과 함께 작업이 진행되는 과정을 볼 수 있도록 하기도 했다. 이번 전시에서는 관객이 작품을 체험할 수 있는 독립된 공간을 연출하였는데 어두운 밀실같이 조성된 공간 안에 들어서면 커다란 스크린이 보이고 거기에 인체의 실루엣이 거대하게 비춰져 보인다. 스크린에 다가갈수록 팔과 손의 움직임에 주목하게 되는데 이 실루엣은 가죽에 기도문을 필사하고 있는 작가의 모습일 것이라 짐작 가능하다. 이를 의식하지 못하더라도 어두운 공간에 비춰지는 영상의 빛과 고요함 가운데 어디선가 들려오는 바람 소리, 무언가를 반복해서 쓰고 있는 거대한 사람 그림자 앞에 혼자 서있는 관객은 여러 감각들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그 시간과 공간 속에서 작품을 오롯이 경험할 수 있도록 유도된다.

이번 전시의 제목인 ‘아나포라(Anaphora)’는 그리스어로 ‘기억해 내는 것’에서 유래했고, 수사학 기법 중에서 어두반복을 의미한다고 한다. 작가가 계속해서 기도문을 필사하는 행위를 반복하고 동시에 그 행위를 통해 인간의 본질에 대한 문제를 기억해내고자 하는 의도를 함의시켜 놓았다. 이와 함께 위에서 언급한 영상설치 작품은 ‘내적평안’이라는 뜻의 ‘헤쉬키아(Hesychia)’라고 함으로써 속세에 발을 딛고 살아가는 사람들이 정신적인 고양을 통한 내적인 평안함을 경험했으면 하는 희망적인 바람도 담고 있다.

이민하는 가죽에 인두질을 하는 온도와 세기를 조정하면서 진하고 연한 효과를 낼 수 있고, 한 번의 인두질로 흔적을 남겨가는 작업방식에서 수묵화에서의 농담표현이나 일필휘지와의 유사함을 찾는다. 이렇게 전통회화에서 시작한 경험을 살리면서도 가죽과 인두, 영상 설치 등의 다양한 매체 확장으로 이어지고 있는 그의 작품의 다음 향방은 어떠할까. 고대에 번제단을 쌓고 동물을 태워 하늘에 바치는 제사 의식을 통해 신과의 소통을 꾀했듯이 작가는 가죽을 태워 기도문을 새기는 것을 통해 세상과 소통하고 나아가 보다 높은 차원과의 소통을 열망하는지도 모른다. 그러한 열망이 앞으로도 표현의 방식에 구애됨 없이 발현되어 가기를 기대한다.

2014년 5월 구로아트밸리 갤러리 개인전 평문

2014.5 Scorching Thirst, Vestiges of Engraved Humanness (Seyeon Park)

Minha Lee: Scorching Thirst, Vestiges of Engraved Humanness
Seyeon Park (Art Theory)

Minha Lee has been engaged in the work of transcribing prayers on paper and leather by hand. Her work involves collecting prayers written in various languages and transcribing each letter by hand. The results are colorful vestiges of prayers in different languages, which intersect and overlap one another beyond the national, religious or ethnic barriers.

For their focus on prayers, the works of Minha Lee may be interpreted as expressions of established religions. Nonetheless, Lee’s artistic attention is focused on examining ‘the mind and behavior of those who devote themselves to repetitive actions’. In her notes, Lee claims that the very act of praying could be viewed as a point of contact for expressing ‘the Sacred and the Profane’, otherwise known as the dilemma of humanity. She argues that while it is a human instinct that we put our own safety and comfort above all else as a matter of foremost priority, we at the same time also have higher moral aspirations for altruism. In this respect, Lee is interested in the sincerity found in prayers of hope and entireties, whether or not their purpose is secular or sacred. According to Lee, a prayer is the most outstanding representation of humanness.

Lee’s earlier works, created prior to transcribing prayers, show repetition of drawing lines on JangJi(長紙), Korean traditional paper, using calligraphy brushes and ink. By repeatedly drawing lines in pale Indian ink, Lee must have been able to attain a spiritual state of perfect selflessness and experience the ascetic nature of such repetitive actions. Transcribing prayers has long been considered as a means of religious practice. Given this, there is a parallel between the act of drawing lines and transcribing prayers, and Lee has taken this similarity as her artistic motivation for her current work.

Initially she began transcribing in pencil on paper and then later proceeded to using other materials such as leather and a hand-held iron. Interestingly, Lee was inspired to switch from paper to leather after watching news about mad cow diseases. She witnessed a loss of humanity in the mass slaughter of animals for human benefit. Furthermore, Lee even reflects on the history of prejudice and persecutions imposed upon the leather industry that has been despised as a subordinate/untouchable industry. Such conscious associations are based on her deep-seated concern for the loss of humanity through conflicts such as wars and religious disputes.

The hot hand-iron transcribing work of prayers on tanned leathers of cow, pig or sheep produces a brunt smell and smoke, which then invoke the tragedy of war, hunger and massacre. The act of transcribing prayers by hand may look sacred but it gives off the smell of burning flesh. Therefore, the process of inscribing letters by burning leather is itself a destructive one. This paradoxical nature of the work reminds Lee of those issues she wishes to explore and pushes her to continue transcribing prayers.

Lee has made various attempts to share with her audiences what she felt and experienced during the creative process. She even held a public workshop where she invited spectators to participate in person. In addition, she installed a transcription device that allowed audiences to view both the completed work and transcription in progress at the same time. The current exhibition features an independent space for audiences to actively take part and interact with her works. Stepping into the dark, secluded room, audiences encounter a large silhouette of a human body projected onto a huge screen. As one approaches the screen, his or her attention is drawn toward the limbs. It is then assumed that the silhouette is an image of the artist transcribing prayers onto leather. Even those who fail to recognize this are led to respond to many sensory experiences, thus fully experiencing that very time and space as they stand in front of the silhouette of a large man amidst light and calm and hear the sound of the wind blowing from somewhere.

The title of the exhibition, ‘Anaphora’, is a word derived from Greek meaning ‘carrying back’. In rhetoric, an anaphora is a rhetorical device that denotes repetition at the beginning of clauses. It signifies the artist’s struggle to keep in mind the problems concerning human nature by transcribing prayers over and over again. In addition, by naming the aforementioned video installation work ‘Hesychia’ or ‘inner peace’, the artist hopes to let those living in the secular world experience inner peace through spiritual elevation.

Minha Lee is able to create light and strong effects by adjusting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of her iron on leather. She finds similarities between this method of leaving an iron mark with a single stroke and the expressions of light and shade in ink-and-wash paintings as well as the process of writing with one stroke of a brush. What is next for this innovative artist, who has built upon her foundations in traditional art and expanded into various other mediums including leather, ironing, and video installations? Like the ancient ritual of presenting burnt offerings on altars in an attempt to communicate with gods, ,perhaps the artist yearns to achieve communication with the world or even some transcendental beings by burning leathers and inscribing prayers on them. In the future, I look forward to seeing her aspirations manifest themselves without the constraints of methods of expressions.

from the Solo Exhibition leaflet May. 2014